funda.nl 등에서 rent할 집을 알아볼 때 가격 측면에서 생각해야 될 점이 있다. 사이트에 적힌 가격이 전부가 아니라 부가 비용이 소요된다. 아래 부가 비용들은 보통 포함되어 있지 않다. 간혹 service cost, G/W/E가 포함된 가격이 올라오기도 한다. 중개로나 deposit은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다.
Service cost: 보통 아파트의 경우에는 이 비용이 항상 붙는다. 적게는 30~50유로, 많게는 70~90유로 이상도 받는다. 적은 돈이 아니므로 꼭 확인 필요하다.
Parking: 주차 공간이 협소한 도심의 경우는 주차료를 시에 내야 된다(이 경우 주차권은 시청에 신청). 외곽은 거의 주차료를 내지 않는다. 아파트의 경우 주차비를 받는 곳도 있고 받지 않는 곳도 있다. 한달에 30~50유로 정도이다.
Deposit: 보통 1달치 월세를 부동산에 맡긴다. 경우에 따라 1000유로, 1500유로 식으로 정해진 금액일 수도 있다. 만약 부동산 측에서 입주자의 재정 상태를 못 믿겠다고 6개월치 정도를 deposit으로 내라고 할 수도 있다. (악덕 부동산 또는 집주인일 경우 deposit을 돌려주지 않기 위해 나중에 이사 나가기 전 inspection에서 흠을 많이 잡는다.)
중개료: 부동산이 받는 금액인데, 중개료를 받지 않는 경우도 있다.
TV/internet: 보통 포함되지 않았는데, furnished apartment같은 경우는 계약 시 옵션으로 포함시킬 수도 있다. 한 달에 30~35정도인 것 같다.
G/W/E: 가스, 물, 전기라는 뜻인데, 즉 세금이다. G와 E는 보통 하나의 업체에서 관리하며, W는 다른 업체에서 관리한다. G/W/E 전부가, 또는 G/E 정도가 정액으로 집 비용에 포함된 경우가 간혹 있다. 그렇지 않으면 W는 월 15~20유로, G/E는 월 50~100유로(겨울철에 한국처럼 난방하면 1000유로 이상도 나옴) 정도를 생각해두는 것이 좋다. [향후 G/W/E에 대한 별도 블로깅 할 예정]
에너지 등급: 에너지 등급이 높을 수록(A, B 정도) G/E가 적게 나온다. 등급이 A, B 정도 되면 겨울철에 난방을 거의 하지 않아도 집이 훈훈하다. 때문에 G/E 가격에 차이가 많이 난다. 바닥보일러가 설치된 집들도 있지만 한국처럼 뜨뜻한 방바닥과 반팔생활은 절대 기대할 수 없다.
집을 구하면 연 1회 그 집에 대한 하수도세+쓰레기처리비가 부과된다. 이는 시청에서 요구하는 비용이다. 당해년도에 관한 것으로 2월 정도에 고지서가 우편으로 날아온다. DigiD가 있으면 인터넷으로 확인하고 납부할 수도 있다. 비용은 거주 위치, 주거형태, 가족 구성원 수, 납부 시점에 따라 상이하게 부과된다. Delft에 거주하는 4인가족인 블로거의 경우 2016년에 750유로 정도 납부했다.
교통비: 직장까지, 또는 도심까지의 교통비도 고려하는 것이 좋다. 외곽의 집값이 도심보다 상대적으로 저렴하기 때문에 자전거로 1시간 이내 거리라면 외곽에 살면서 자전거로 출퇴근하는 것을 생각해볼 수도 있다.
기본 지출(월간) = 기본 임대료 + service cost + TV/internet + G/W/E + parking + 교통비
추가 지출(1회성) = 중개료 + deposit + 하수도세 + 쓰레기처리비
납부는 제 때에 잊지 않고 하는 것이 좋다. 부동산과의 관계는 가능하면 원만하게 유지하는 것이 좋다. 나중에 이사를 가게 될 때 그 다음 집의 부동산 측에서 이전 부동산 측에다가 '본 입주자가 월 사용료를 제대로 냈는지'에 관한 증빙 서류를 요구하기도 한다. 또 집 빼기 전에 부동산 측에서 나와서 꼼꼼히 살펴보는데, 부동산은 가능한 흠 잡힐 일을 찾아서 deposit을 최대한 돌려주지 않으려고 할 것이기 때문에 부동산과의 관계가 평소에 좋아야 deposit을 제대로 돌려받을 수 있다. 부동산과 메일 서신을 주고 받을 때 friendly한 표현을 많이 쓰는 것이 좋을 것 같다.